Maedi
-
[에픽하이 특집] 정규앨범 통합 리뷰 (下)Review 2021. 2. 3. 21:53
고등학생 시절. 에픽하이 앨범은 내 BGM이었다. 항상 에픽하이 앨범을 틀어두었다. 내 음악 취향의 '뿌리'랄까. 돌이켜보니 내 인생 이렇게 오랜 기간 팔로우업 했던 아티스트가 또 있었나 싶다. 당시 필자는 미국에서 체류 중이었다. 시간이 지난 후. 우연히 당시 같이 살았던 (미국인) 룸메이트를 다시 만난 적이 있다. 미국 해병대에서 일하고 있는 그는 한국인 룸메이트를 둔 덕에 귀동냥으로 들었던 에픽하이 앨범을 아직까지도 즐겨 듣는다 말했다. 아이튠즈를 통해 최근에 나왔던 신보까지 꿰뚫고 있었다. 가장 꾸준한 힙합 그룹. '홍대 인디 감성'의 마지막 주자. 글로벌 규모의 팬덤이 존재하는 케이팝 밴드. 이 모든게 섞인 그룹이 에픽하이다. 자신 내부의 서사가 중요하다는 점에서 방탄소년단보다 앞섰다. 자신들이..
-
[에픽하이 특집] 정규앨범 통합 리뷰 (上)Review/Albums 2021. 2. 1. 20:23
I paved the way For everyone that is pavin' the way 말이 많네 Ain't no one givin' a fxxk what you say Moment of silence 'Rosario' 중 에픽하이는 항상 논란의 중심이었다. 이게 힙합이냐? 지나치게 타협한 거 아니야? 배신자 아니야? 화장하고 예능 나오는 게 힙합이야? 이런 종류의 논란들 때문이었다. 이제 와서 뒤돌아보면 그렇게까지 지키려 했던 힙합의 순수함이란 대체 무엇일까 싶다. 허망함마저 느껴진다. 에픽하이의 데뷔 이후 본토에서 등장한 드레이크가 멜랑콜리한 사운드로 힙합을 정복했다. 빡센 힙합 믹스테이프를 내면서 달콤한 알앤비를 하고. 틱톡 챌린지의 제왕이 됐다. 급기야 자신이 가사를 직접 써야 한다는, 어쩌..
-
[발라드 특집] MBTI 유형별 발라드 노래Review/Singles 2020. 12. 31. 18:14
대 MBTI의 시대다. 비과학적이라는 이야기는 이번 글에서는 잠시 접어두도록 하자. 좌우지간 혈액형이나 별자리 성격점 보다는 낫지 않겠는가? 사람마다 자신이 원하는 것이 다르다는 사실. 그 평범하지만 쉽게 잊혀지는 진리를 경쟁사회에서 환기시켰다는 점에 주목하자. 그래서 오늘은 '가장 위대한 발라드'가 아닌, MBTI 유형별로 마음을 울릴 발라드를 추천해봤다. 핀포인트처럼 시장을 공략하고 있는 요즘 발라드 시장에서. 당신이 뭘 좋아할지 몰라서 다 준비해봤다. Enjoy! ISTJ 청렴결백한 논리주의자 "조규찬 - 발라드는 모두 거짓말이다" 곡 소개 이제 발라드 시장에서 가장 큰 지분을 차지하기 시작한 OST 시장. 이 노래는 알앤비의 거장 조규찬이 섬세한 보컬과 가사로 '발라드를 부정하는' 감성을 담은 숨..
-
What We're Listening To: #3 (연말특집)Curation/What We're Listening To 2020. 12. 9. 20:13
코로 차갑고 건조한 겨울 공기가 느껴지기 시작하면 이 노래를 듣는다. 나에게 겨울을 여는 곡이라 할 수 있다. 낮이나 밤보다 동틀 무렵 새벽에 더 어울리는데, 느린 재즈 형식의 이 곡을 듣고 있자면 나도 모르게 턱 한 쪽을 괴고 창 밖을 멍하니 바라보게 된다. 자이언티와 이문세의 목소리는 추운 겨울과 상반된 포근함을 준다. 겨울이 추워도 눈이 내리고 나면 조금은 따뜻해지기 마련이다. 이번 겨울이 유난히 춥게 느껴진다면 이 곡으로 따뜻한 겨울을 느껴보는 것도 좋을 듯 싶다. 김민정, ex-업계종사자 기리보이는 항상 허를 찔러 왔다. 그의 “0개 국어” 언어 능력이 적어내는 가사, 노래인지 랩인지 알 수 없는 그의 보컬, 이 세계를 지나 이제는 “우주를 비행” 하고 있는 그의 비트 매이킹 등등에서 이다. 음..
-
What We're Listening To: #2Curation/What We're Listening To 2020. 11. 17. 21:02
Make A Wish (Birthday Song) NCT가 흥미로운 이유 중 하나는 늘 실험적인 시도를 해온 그룹이기 때문이다. 'Make A Wish'는 그 명성에 걸맞게 또 한 번의 실험을 했다. 상반기 '영웅'이 세상에 존재할 수 있는 모든 비트와 소스를 쏟아부은 느낌이라면, 하반기 NCT 프로젝트의 문을 연 'Make A Wish'는 주머니에 필요한 것들만 넣고 최대한 가볍게 (그렇지만 느낌 있게) 걸어보려고 한 것만 같다. 시종일관 반복되는 휘파람 소리와 '손을 맞대'라는 간결하고도 강력한 가사가 이를 뒷받침한다. 소원을 말해보라던 SM식 주문이 10년 뒤 손을 맞대로 바뀔 줄이야. 비주얼 역시 빼놓을 수 없는데, 볼드하고 주렁주렁한 목걸이와 트위드 재킷, 그리고 콘로우 헤어 등은 이전 SM 스..
-
[오디션 특집] 인상적이었던 오디션 예능의 순간들Feature/케이팝 인사이트 2020. 11. 6. 17:42
[고등래퍼2, 모든 순간이 레전드였다] 싸이퍼부터 파이널까지- 빼놓을 수 있는 장면이 있을까. EBS에서 방영했다고 해도 이상할 게 없었던 레전드 오브 레전드. 고등래퍼2다. 과장을 좀 보태 서태지의 'Come back home' 수준의 영향력이 아닌가 싶다. 당시 수많은 가출 청소년들이 서태지의 노래를 듣고 집으로 돌아갔듯이, 이번엔 수많은 어른들이 고등학생을, 나아가 자퇴생을 보는 시각을 바꿔놓았다. 의의는 간단히 이 정도로 정리한다 해도, 라인업 마저 김하온/이로한/윤진영/조원우/오담률 이다. 다시 말해, 하이어뮤직/VMC/앰비션뮤직/하이라이트레코즈/밀리언마켓이 모두 있다는 얘기. 고등학생 래퍼들의 경연대회인 줄 알았는데, 이제 보니 내로라하는 국힙 소속사들의 신예 래퍼 드림콘서트였다. 이 경연인지..
-
[오디션 특집] 오디션은 어떻게 케이팝을 바꾸었는가?Feature/케이팝 인사이트 2020. 10. 24. 08:33
오디션은 한때 케이팝 업계를 지배했다. '공정'이 키워드인 요즘, 공정하게 모두가 팬덤의 지지를 얻기 위해 경쟁한다는 오디션 서사는 케이팝 아이돌을 뜨겁게 달구었다. 오디션에 참여해보지 않은 아이돌을 찾기가 더 어려울 정도다. 하지만 이제 오디션 열풍은 사그라든 걸로 보인다. 현재 가장 큰 영향력을 가진 기획사. 빅히트의 오디션 프로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은 참담할 정도다. 프로듀스 시리즈는 불명예스럽게 종영해야 했다. 오히려 오디션 열풍이 사라진 지금이야말로 오디션이 어떻게 케이팝 시장을 바꾸었는지 되짚어보기에 적합한 시간이라 본다. 오디션 프로는 처음부터 끝까지, 케이팝을 어떻게 바꾸었는지 살펴보자. 프로듀스 시리즈 이전 오디션 열풍이란 말이 있었다. 지금은 너무도 낡아 보이는 개념이지만 당대에 그 위..
-
[SMing] 트리뷰트 앨범의 혁신, 'Our Beloved BoA'Feature/케이팝 인사이트 2020. 10. 22. 09:50
7/31부터 8/28까지. 1달 남짓한 기간 동안 보아의 음원이 음원차트에 하나씩 등장했다. 원곡은 아니다. SM 소속가수부터 해외 팝 가수까지. 다양한 아티스트들이 재해석한 새로운 음악이다. 보아 20주년을 기념하는 SM Station의 프로젝트 'Our Beloved BoA'다. 사실, 어떤 뮤지션의 트리뷰트 앨범은 이제는 흔하디 흔하다. 한국도 가요의 역사가 쌓이며, 기억해야 할 뮤지션이 충분히 생겼기 때문이다. 유영석의 트리뷰트 앨범처럼 트리뷰트 앨범에 본인이 직접 참여하는 경우도 드물지 않다. 그렇다면 보아는 대체 무엇이 다른가? 우선 댄스가수로써. 기획사 주도로 만들어진 가수가 트리뷰트의 대상이 된 사실상 첫번째라는 사실에 가치가 있다. 서태지와 아이들이나 듀스와는 다른. 기획사 주도의 '케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