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by Maedi
-
What We're Listening To: #3 (연말특집)Curation/What We're Listening To 2020. 12. 9. 20:13
코로 차갑고 건조한 겨울 공기가 느껴지기 시작하면 이 노래를 듣는다. 나에게 겨울을 여는 곡이라 할 수 있다. 낮이나 밤보다 동틀 무렵 새벽에 더 어울리는데, 느린 재즈 형식의 이 곡을 듣고 있자면 나도 모르게 턱 한 쪽을 괴고 창 밖을 멍하니 바라보게 된다. 자이언티와 이문세의 목소리는 추운 겨울과 상반된 포근함을 준다. 겨울이 추워도 눈이 내리고 나면 조금은 따뜻해지기 마련이다. 이번 겨울이 유난히 춥게 느껴진다면 이 곡으로 따뜻한 겨울을 느껴보는 것도 좋을 듯 싶다. 김민정, ex-업계종사자 기리보이는 항상 허를 찔러 왔다. 그의 “0개 국어” 언어 능력이 적어내는 가사, 노래인지 랩인지 알 수 없는 그의 보컬, 이 세계를 지나 이제는 “우주를 비행” 하고 있는 그의 비트 매이킹 등등에서 이다. 음..
-
새 시대를 위한 음악의 얼굴, 섬네일Curation/월로비의 Cover Story 2020. 11. 27. 16:29
무형의 음악에 얼굴이 되어주는 앨범커버는 음악과 디자인 사이의 중요한 연결고리임과 동시에 그 자체로 이미 하나의 디자인 장르가 되어가는 중입니다. ‘월로비의 Cover Story'에서는 인상 깊은 앨범커버를 골라 소개하고 음악 감상의 또 다른 시각을 제안합니다. 글을 쓰기 전에 의식처럼 거치는 작업이 하나 있다. 바로 유튜브에 들어가 적절한 분위기의 플레이리스트를 고르는 일이다. 로파이 힙합 비트, 또는 잔잔한 재즈나 팝을 틀어놓기도 한다. 매일의 기분에 따라 선택하는 재생목록은 달라지지만 그게 어떤 음악이 됐든 마치 맞춤 정장처럼 적절한 작업 환경을 마련해준다. 이것은 그 리스트가 그만큼 어떠한 상황이나 분위기 등을 기준으로 하여 디테일한 컨셉과 분류 방식을 가지고 있었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이러한 플..
-
What We're Listening To: #2Curation/What We're Listening To 2020. 11. 17. 21:02
Make A Wish (Birthday Song) NCT가 흥미로운 이유 중 하나는 늘 실험적인 시도를 해온 그룹이기 때문이다. 'Make A Wish'는 그 명성에 걸맞게 또 한 번의 실험을 했다. 상반기 '영웅'이 세상에 존재할 수 있는 모든 비트와 소스를 쏟아부은 느낌이라면, 하반기 NCT 프로젝트의 문을 연 'Make A Wish'는 주머니에 필요한 것들만 넣고 최대한 가볍게 (그렇지만 느낌 있게) 걸어보려고 한 것만 같다. 시종일관 반복되는 휘파람 소리와 '손을 맞대'라는 간결하고도 강력한 가사가 이를 뒷받침한다. 소원을 말해보라던 SM식 주문이 10년 뒤 손을 맞대로 바뀔 줄이야. 비주얼 역시 빼놓을 수 없는데, 볼드하고 주렁주렁한 목걸이와 트위드 재킷, 그리고 콘로우 헤어 등은 이전 SM 스..
-
Streaming Issue #8Feature/음악산업 이슈 2020. 11. 13. 17:16
트릴러, 틱톡의 대항마될 수 있을까 틱톡이 단순한 인기 소셜 앱의 위치를 넘어선지는 오래되었다. 빌리 아일리시, 릴 나스 엑스부터 지코까지. 음악과 동영상의 재미있는 활용을 넘어 뮤직비즈니스 마케팅의 새로운 공식을 제시한 틱톡. 이미 틱톡은 하나의 라이프스타일로 자리매김했고, 모든 인플루언서와 마케터의 필수 지침서처럼 되었다. 틱톡의 독주를 막고자 새로운 대체 앱이 미국에서 등장했다. 바로 트릴러(Triller). 창업자 제이슨 마는 "틱톡이 밈을 활용하는 '아이들용 앱'이라면 우리는 좀 더 트렌디하고 요즘을 이끄는 세대가 쓰는 앱"이라고 설명한다. 히스패닉, 어번 뮤직, 프로그레시브 등 더 쿨하고 창의적인 음악과 영상들을 볼 수 있는 것이 특징. 참고로 제이슨 마는 실력파 아시아계 뮤지션들을 지속적으로..
-
[오디션 특집] 인상적이었던 오디션 예능의 순간들Feature/케이팝 인사이트 2020. 11. 6. 17:42
[고등래퍼2, 모든 순간이 레전드였다] 싸이퍼부터 파이널까지- 빼놓을 수 있는 장면이 있을까. EBS에서 방영했다고 해도 이상할 게 없었던 레전드 오브 레전드. 고등래퍼2다. 과장을 좀 보태 서태지의 'Come back home' 수준의 영향력이 아닌가 싶다. 당시 수많은 가출 청소년들이 서태지의 노래를 듣고 집으로 돌아갔듯이, 이번엔 수많은 어른들이 고등학생을, 나아가 자퇴생을 보는 시각을 바꿔놓았다. 의의는 간단히 이 정도로 정리한다 해도, 라인업 마저 김하온/이로한/윤진영/조원우/오담률 이다. 다시 말해, 하이어뮤직/VMC/앰비션뮤직/하이라이트레코즈/밀리언마켓이 모두 있다는 얘기. 고등학생 래퍼들의 경연대회인 줄 알았는데, 이제 보니 내로라하는 국힙 소속사들의 신예 래퍼 드림콘서트였다. 이 경연인지..
-
[오디션 특집] 오디션은 어떻게 케이팝을 바꾸었는가?Feature/케이팝 인사이트 2020. 10. 24. 08:33
오디션은 한때 케이팝 업계를 지배했다. '공정'이 키워드인 요즘, 공정하게 모두가 팬덤의 지지를 얻기 위해 경쟁한다는 오디션 서사는 케이팝 아이돌을 뜨겁게 달구었다. 오디션에 참여해보지 않은 아이돌을 찾기가 더 어려울 정도다. 하지만 이제 오디션 열풍은 사그라든 걸로 보인다. 현재 가장 큰 영향력을 가진 기획사. 빅히트의 오디션 프로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은 참담할 정도다. 프로듀스 시리즈는 불명예스럽게 종영해야 했다. 오히려 오디션 열풍이 사라진 지금이야말로 오디션이 어떻게 케이팝 시장을 바꾸었는지 되짚어보기에 적합한 시간이라 본다. 오디션 프로는 처음부터 끝까지, 케이팝을 어떻게 바꾸었는지 살펴보자. 프로듀스 시리즈 이전 오디션 열풍이란 말이 있었다. 지금은 너무도 낡아 보이는 개념이지만 당대에 그 위..
-
[SMing] 트리뷰트 앨범의 혁신, 'Our Beloved BoA'Feature/케이팝 인사이트 2020. 10. 22. 09:50
7/31부터 8/28까지. 1달 남짓한 기간 동안 보아의 음원이 음원차트에 하나씩 등장했다. 원곡은 아니다. SM 소속가수부터 해외 팝 가수까지. 다양한 아티스트들이 재해석한 새로운 음악이다. 보아 20주년을 기념하는 SM Station의 프로젝트 'Our Beloved BoA'다. 사실, 어떤 뮤지션의 트리뷰트 앨범은 이제는 흔하디 흔하다. 한국도 가요의 역사가 쌓이며, 기억해야 할 뮤지션이 충분히 생겼기 때문이다. 유영석의 트리뷰트 앨범처럼 트리뷰트 앨범에 본인이 직접 참여하는 경우도 드물지 않다. 그렇다면 보아는 대체 무엇이 다른가? 우선 댄스가수로써. 기획사 주도로 만들어진 가수가 트리뷰트의 대상이 된 사실상 첫번째라는 사실에 가치가 있다. 서태지와 아이들이나 듀스와는 다른. 기획사 주도의 '케이..
-
What We're Listening To: #1Curation/What We're Listening To 2020. 10. 9. 18:26
K/DA는 꽤 복합적인 기획이다. 케이팝이면서 게임 내 스킨 판매유도면서 신챔홍보까지 하기 때문이다. 이 노래가 발매된 8월 말, (탑점화텔)아칼리가 명백하게 OP였다는 점에서 확신을 얻는다. 이런 맥락으로 볼때 'The Baddest'에서 소연의 랩이 주포인트고 그 퍼포먼스가 아주 인상적인 것은 이상한 일이 아니다. K/DA는 소연이 메인인 기획이고 소연은 자신이 왜 메인인지를 능력으로 입증한 것이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이 곡의 훅이 약하다는 평가는 핀트가 어긋난 평가다. 이 곡은 훅이 아니라 랩을 느껴야 하는 곡이다. 아칼리의 강함을 청각적으로 느껴보자. 몬세, 대중문화덕후 웹툰이나 웹소설처럼 텍스트가 있는 컨텐츠들에 가사가 있는 노래를 BGM으로 쓰는건 부적합하다고 생각하는 편이다. 노랫말하고..